Saturday, August 24, 2013

IPPC Predicts Upheaval of Sea Level & Drowning of Sea Shores

UN IPCC Assessment Report: Sea Level Max. 91.4cm Up, 33 folds of Yeouido disappearing in Korean Peninsular

 " In the worst case, the sea level will be upraised 91.4cm higher than now. The fact the prime cause of the climate change is of the human is 95% true."

 This is the major contents of the 5th Assessment Report that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of U.N. will announce at International Climate Conference in Stockholm, Sweden next month. According to Reuters and New York Times that has acquired the draft of the 5th Report, IPCC assessed the sea level of the earth will rise 29~91.4 cm in the end of the 21st century as long as the current emission of the greenhouse gases continue. In the worst case, the major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Shanghai and Sydney will be drowned in the sea. The major seashore cities such as Incheon in Korea also will be put at peril.

  IPPC had foretold the rise range of the sea level of 2100 would be 18~59 cm in its 4th Assessment Report in 2007. According to Reuters, IPPC has concluded that will be min. 29 cm and max. 82 cm, adjusting the prospect of 6 years ago upwards. The maximum possible increase value becomes 23 cm higher. NYT has introduced some sceince panel of IPPC has the gloomier prospect that the sea level would be heightened min. 53 cm and max. 91.4 cm.

 According to the simulation of Korea Marine Environment Corporation, 50 cm upheaval of the sea level brings the drowning of 49 square kilometers that reaches to 11 folds of Yeouido in Korean Peninsular. If the sea level rise nearly 1 m as the worst scenario, 33 folds of Yeouido will perish. The economic damage will be hu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has predicted in March the sea level of Korean Peninsular would be 1.36 m higher in 2100. That means the economic damage scale would be about of $2,600 billions at the present value.

 The 5th Report has cleared specifically the main cause of the climate change is ascribable to the human 95% certainly. While in 2007 and 2001, the certainty was 90% and 66% respectively, there remains little doubt the climate change is chiefly due to the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consume of the fossil fuel. NYT has said the Report had made clear "It has the strong conviction the human activities is the core reason of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of the earth during 1951~2010 and as the due result, there takes place the extreme climate change such as the upheaval of the sea level."

 The Guardian of U.K. has analyzed IPPC seems to refute strongly the hold the speed of the global warming is lessening of late with this Report. Recently, there was arisen some disputes the global warming happens slowly and the prediction of the scientists is exaggerated.

 IPPC with being founded in 1988 is composed of over 2,500 scientists from over 130 countries of the world and accomplishes the role to converge the newest research performances on the climate change. The reports published every 5~6 years greatly influences the policies of the world environment. Among the organizations about the climate change, it is of the largest scale and authoritative. It was rewarded the Nobel Peace Prize with Al Gore, the ex vice president of U.S.A. in 2007. The 5th Report will be public 3 times from the 23rd next month to 2014.

유엔 IPCC 평가 보고서

해수면 최대 91.4㎝ 상승
한반도, 여의도 33배 사라져




“최악의 경우 해수면이 현재보다 91.4㎝ 상승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주된 원인이 인간이라는 사실은 95% 확실하다.”

 유엔 산하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가 다음 달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 기후회의에서 발표할 5차 평가 보고서의 주 내용이다. 5차 보고서의 초안을 입수한 로이터와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IPCC는 현재 수준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 21세기 말 지구 해수면은 29~91.4㎝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최악의 경우 뉴욕이나 런던·상하이(上海)·시드니와 같은 세계 주요 도시가 모두 물에 잠기게 된다. 한국에서도 인천 등 주요 해안 도시들이 위험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IPCC는 2007년 4차 평가보고서에서 2100년의 해수면 상승치를 18~59㎝로 예측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IPCC는 6년 전 전망을 상향 조정해 최소 29㎝, 최대 82㎝까지 오를 수 있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최대 상승 가능치가 23㎝나 높아진 것이다. NYT는 19일 IPCC 과학 패널 중 일부는 해수면이 최소 53㎝, 최대 91.4㎝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는 더욱 어두운 전망도 있다고 소개했다.

 해양환경관리공단 모의실험에 따르면 해수면이 50㎝만 올라가도 한반도에선 여의도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49㎢가 물에 잠긴다. 최악의 시나리오대로 1m 가까이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여의도의 33배에 달하는 면적이 사라진다. 경제적 피해도 막대하다. 3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2100년 한반도 해수면이 1.36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럴 경우 경제적 피해 규모는 현재가치로 286조3721억원에 달한다.

 이번 IPCC 보고서는 특히 기후 변화의 주범이 인간이라는 사실이 95% 확실하다고 밝혔다. 2007년엔 90%, 2001년엔 66%였지만 이젠 화석연료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이 주된 원인이라는 사실에 별 의심의 여지가 없어진 것이다. NYT는 보고서가 “인간의 활동이 1951~2010년 지구 표면 온도 상승의 주된 원인이며, 이로 인해 해수면 상승 등 극단적인 기후 변화가 발생했다는 데 강한 확신을 갖는다”고 명시했다고 전했다.


영국 가디언은 IPCC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최근 지구온난화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주장을 강하게 반박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근 일각에선 지구 온도 상승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과학자들의 예측이 과장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돼 왔다.

 88년 결성된 IPCC는 세계 130여 개국 과학자 2500여 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기후 변화와 관련된 최신 연구를 수렴하는 작업을 한다. 5~6년마다 발표하는 보고서는 세계 환경 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기구 중 가장 규모가 크고 권위가 있다. 2007년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과 함께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5차 보고서는 다음 달 23일부터 201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공개된다.

Monday, June 17, 2013

Reminiscence of Jiaxing Techno Mart

 I have had the opportunity to visit Jiaxing, where Sino Korea Zhejiang International Techno Mart and Technique Exchange Fair was held during May 26th ~ 29th 2008.

 This district including Hangzhou is famous for the silk industry. I was surprised at the vast and endless plants of the silk mulberry along the express way from the outskirts of Shanghai to Jiaxing and was reminded of the fact the region provides over 70% of the whole cocoon of the earth. So to speak, this district has been the major supplier of the silk, that has been distributed throughout the world, then Asia, Europe and the northern Africa across the silk road for thousands years.

 Our company participated in this fair with the novel technique of non woven silk producing method with the anticipation to encounter with the historical silk big shots who aspire to adopt the revolutionery innovation to rejuvenate the traditional business which is considered too cliche and old for us to pay the attentions. The disregard to it was arisen firstly in Japan some fifty years ago and in the next place in Korea, where the sericulture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fore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abolished and merged into agri-bio material one in 1990. When I had visited the professor of the department with the recommendation in 2005 or in 2006, I unexpectedly met the unwelcome treatment with the brief comment that he had majored in the synthetic fabric and had not have any interests in bio one, though he was working in the agri-bio material department.

 In spite of the ardent supports from the officals and staff of Korean Techno Park, Torch High-Tech Industry Development Center of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Jiaxing Science and Technology Park Management Committee,  Science and Technology Bureau of Zhejiang, Science and Technology Bureau of Jiaxing and Nanhu of Jiaxing local government, our technique had attracted little notices from the silk manufacturers. On the contrary, some chemical non woven companies had shown concerns with the caution.

 In retrospect, the average persons of that time felt far less problematic at the deterio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climate change of the planet than ones of nowadays, even though only 5 years elapsed.

Tuesday, June 11, 2013

Worldly CO2 Emission Breaks Historical Record in 201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made clear the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 had recorded the ever highest 31.6 billion tons with the increase of 1.4% over the previous year in 2012 in its annual world energy prospect report on the 10th inst. It worried the future earthly temperature would be 3.6~5.3 degrees C higher than pre-industrialization, if this trend continue. Scientists have warned the heightening over 2 degrees Cellcius of the earth from that of the pre-industrialization would put it at the high peril in the point of the climate change. The CO2 emission of China has increased 0.3 billion tons(3.8%) than the year before, while U.S.A. and Europe showed the decrease of 0.2 billion tons(3.8%) and 0.05 billion tons(1.4%) respectively.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0일 연례 세계 에너지 전망보고서에서 작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보다 1.4% 늘어 사상 최고치인 316억 t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런 추세라면 향후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3.6∼5.3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IEA는 우려했다. 과학자들은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 온도가 섭씨 2도 이상 상승하면 기후변화 측면에서 매우 위험할 것이라고 경고해 왔다. 중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3억 t(3.8%)이 늘었고 미국과 유럽은 각각 2억 t(3.8%)과 5000만 t(1.4%) 감소했다.

Saturday, June 8, 2013

Sustainable Consumption Cited from UNEP on World Environment Day

 Our planet’s regenerative capacity is being greatly exceeded as the world’s population is now producing and consuming more resources than ever. In fact,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people are acquiring much more than what they actually need and therefore producing an enormous amount of waste.

 Our growing population puts so much pressure on the environment that nowadays the natural resources are no longer as abundant as they used to be. How we use and dispose of non-renewable resources is radically altering our ecosystems and even the planet’s renewable resources (such as water, timber or fish) are rapidly being exhausted. We have now reached a tipping point where the quality of air and water needs to be improved, the level of production needs to be balanced and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needs to be reduced.

 Sustainable consumption is all about ‘doing more and better with less,’ through reducing resource use, degradation and pollution while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for all.
 The massive consumption of both renewable and nonrenewable resources contributes to a massive loss of biodiversity – with current extinction rates of birds, mammals and amphibians estimated to be at least 100 times, but possibly over 1,000 times, higher than pre-industrial rates. The poorest population is most affected by such changes giving that they rely directly on natural resources — such as fishing, small-scale agriculture or forestry — for their livelihoods.

 Pollution and over-exploitation of the world’s resources are increasingly compromising our own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The planet cannot afford to continue taking this path. A transition towards a more sustainable lifestyle is crucial to enable future generations to have access to their fair share of resources.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as for how we can change our unsustainable consumption habits while als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To do more with less is essential for us to live within the resources the planet has to offer. Changing our current living standards requires us to adopt innovative and creative solutions on the way we use and dispose the products and services we own and consume.

 This could enable a transition to more sustainable activities and lifestyles while also protecting the world’s natural resources.

 So orient your action for World Environment Day this year to an activity that promote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be the one to reshape our future!                          

 Source from UNEP

Friday, May 24, 2013

Detriments of Vinyl Material for Agriculture

Harms of Vinyl or similar Material for Agriculture


 Nowadays when we look around the farms, we can find much a vinyl or simililar material is used for the agriculture. Starting from the vinyl of the literary vinyl or green house, the vinyl wrapper that protect the transplanted budlet from the chill, the chemical non woven used as the various sun shades and the thermal covers are those and as these chemical materials aren't easy bio degradable, they has contaminated the soil for a long time.

 Besides that, according to what has been cleared as the results of the latest research these vinyls or similar materials are revealed to have blocked the necessary communications among the agricultural plants and to have hindered the healthy growth of them as below.

- Wireless communication; Emitting the warning material in time of assaults from the harmful bugs and making the nearby plants ready against it

- Wired communication; Connecting the mycelia of the fungi at the roots and relaying the informations up to the plants far away

 There is established a gignatic information network as a brain neural organization with all the roots of the plants connected each other as in the Pandora planet of the movie 'Avatar'.  The tree of souls that has heard the desperate pray from Navi race calls for allout mobilization of all the animals to resist against the human troops that attemp to destroy the Pandora through this network.


 

비닐 등  농업 자재의 해악성


오늘 날 농가의 주위를 둘러보면 비닐 등을 농업용 부자재로 많이 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문자 그대로인 비닐 하우스의 비닐을 비롯하여, 묘종의 보온용으로 어린 묘종을 싸고 있는 비닐 보온막, 각종 차양막, 보온 덮개로 사용하고 있는 화섬 부직포 등이  그것인데 이러한 화학 자재들은 잘 알다시피 쉽게 자연 분해되지 않아 두고 두고 토양을 오염시켜 왔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밝혀 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비닐 등은 농작물 간에 필요한 소통을 봉쇄하여 농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無線통신
해충 공격 받으면 경고물질 방출, 옆에 있는 나무들 대비하게 해

- 有線통신
뿌리에 사는 곰팡이들 균사 연결, 멀리 있는 나무까지 정보 전달

영화 '아바타'에 나오는 판도라 행성에서는 모든 식물 뿌리들이 연결돼 뇌 신경망처럼 거대한 정보 네트워크를 이룬다. 나비족(族)의 간절한 기도를 받은 '영혼의 나무'는 이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동물에게 판도라를 파괴하는 인간 군대에 대항하라는 총동원령을 내린다.

지구에서도 판도라 행성에서처럼 식물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땅속 네트워크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왔다. 네트워크 회로는 뿌리 끝에 공생(共生)하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 식물이 해충의 공격을 받으면 곰팡이가 다른 식물들에 경고 신호를 보낸다는 것이다.

뿌리 곰팡이 통해 해충 알려

식물은 해충의 공격을 받으면 공중에 경고 물질을 방출한다. 주변 식물들은 경고 물질을 탐지해 미리 해충에 대비한다. 일종의 무선(無線) 통신인 셈. 그렇다면 공기를 통한 신호 전달이 불가능해지면 어떻게 될까.


식물 뿌리에 사는 곰팡이 균근 설명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그래픽 뉴스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조선닷컴
영국 에버딘대 연구진은 공기를 통한 물질 이동을 막기 위해 콩과식물인 잠두를 각각 비닐 봉지로 모두 감쌌다. 그러고는 비닐 봉지 하나를 열고 해충인 진디를 넣은 뒤 다시 막았다. 이 잠두는 진디의 천적인 기생벌을 부르는 화학 물질을 방출했다. 그런데 비닐 봉지로 둘러싼 다른 잠두들도 똑같은 화학 물질을 방출했다.

연구진은 잠두 뿌리에 있는 공생 곰팡이인 균근(菌根)이 새로운 정보 전달자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곰팡이는 식물 뿌리를 통해 탄수화물 같은 영양분을 얻는다. 식물은 뿌리보다 훨씬 멀리 뻗어 있는 실 같은 곰팡이 균사(菌絲)를 통해 성장에 필요한 인과 미네랄 등을 얻는다.

실험에서 처음 진디 공격이 일어난 주변의 잠두에서만 같은 방어 행동이 나타났다. 조금 떨어진 잠두는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인접한 식물들만 뿌리에 사는 곰팡이들이 균사로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를테면 공기를 통한 식물의 '전시(戰時) 무선 통신망'이 차단되자, 곰팡이 균사들의 '지하 유선 통신망'이 대신 가동된 셈이다. 연구 결과는 이달 초 국제학술지 '이콜로지 레터스(Ecology Letters)' 인터넷판에 실렸다.

곰팡이는 식물 세계의 인터넷

곰팡이가 식물의 통신망이 된다는 주장은 2010년 중국 남중국농업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처음 발표했다. 연구진은 토마토를 한 쌍씩 붙여 심어 뿌리의 균근이 서로 연결되도록 했다. 한쪽에 줄기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곰팡이를 뿌리자, 곧 토마토가 병에 걸렸다. 한참 지나 바로 옆 토마토를 봤더니 줄기마름병이 훨씬 덜했다. 병원체에 저항하는 유전자와 효소도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뿌리 공생 곰팡이를 통한 식물의 신호전달 개념도
중국 연구진도 각각의 토마토에 비닐 봉지를 씌워 공기를 통한 경고 물질 전달을 차단했다. 연구진은 처음 마름병 곰팡이에 감염된 토마토가 뿌리에 연결된 균근을 통해 경고 신호를 바로 옆 토마토에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균사는 땅속 멀리까지 뻗어가 다른 식물에서 나온 균사와 엉켜 신호물질 전달에 안성맞춤"이라고 밝혔다. 공기를 통한 경고 물질 전달은 느리고, 바람과 같은 날씨 상태에 크게 좌우된다. 식물 뿌리 자체도 화학 물질을 분비할 수 있으나 멀리 가지 못한다. 연구진은 균근을 '식물 세계의 인터넷'이라고 불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류충민 박사는 "맞닿은 뿌리를 통한 경고 물질 전달은 확인됐다"며 "뿌리를 넘어 균근으로까지 신호전달 체계가 확대되려면 전달되는 물질이 무엇인지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연 살충제로 활용 가능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연구진은 2009년 캐나다의 숲 전체를 연결하는 거대한 균근 네트워크를 발견했다. 나무 하나는 균근을 통해 30m 이상 떨어진 주변 수십 그루의 나무와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곰팡이는 심지어 종이 다른 나무에도 연결돼 있었다.

하지만 현대 농업은 곰팡이 네트워크를 망가뜨리고 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수잔 시마드 교수는 "비료를 많이 쓰면서 농작물이 뿌리에서 곰팡이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됐다"며 "이는 농작물 자체의 질병 저항력을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버딘대 연구진은 균근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종의 '희생 식물' 전략을 제안했다. 진디 피해가 큰 작물 중간에 일부러 진디에 취약한 식물을 심는다. 희생 식물은 진디에 당하겠지만, 땅속 균근으로 연결된 다른 작물들은 경고신호를 받고 사전에 대응 태세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Tuesday, April 16, 2013

Marine Rubbish Tail Tangled Whale

A whale was found at peril neat Maui, Hawaii ult. The fishery equipments of the rope and the buoy e.t.c. had twisted his tail and body. He would have been dead soon, if he were to remain in this state.
The pros of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and Hawaiian Islands Humpback Whale National Marine Sanctuary have succeeded in getting rid him of the fishery equipments that had reached over 20 meters after the deadly struggle. The netizens from the world commented as he were tailed with 'the man made tail of the death'. Though the news the whale that was gone almost to death due to the marine rubbish was saved is the heart warming story, it's severe realities for lots of  the ocean animal to lose their lives from the fishery equipments or the marine rubbish.                      
 
 지난 달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 부근에서 위기의 고래가 발견되었다. 밧줄과 부표 등 어업용 장비가 숫고래의 꼬리와 몸통을 감고 있었다. 고래는 이 상태로라면 곧 죽었을 것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과 하와이혹등고래보호소의 전문가들이 사투를 벌여 20미터에 이루는 어업 장비를 제거해냈다. 사진을 본 해외 네티즌들은 인간이 만든 '죽음의 인공 꼬리'를 단 것 같다고 말한다. 해양 쓰레기 때문에 죽을 뻔한 고래가 살았다는 소식은 훈훈한 미담이지만, 많은 해양 동물들이 어구나 쓰레기 때문에 생명을 잃고 있는 게 현실이다.

(사진 : 죽음의 꼬리를 가진 고래) (picture: the whale tailed with the death)






Wednesday, April 3, 2013

8 Shaped Turtle out of Plastic Wrapper



 According to Korea Herald Business of the 18th ult., there was shown the malformed turtle shaped '8' instead of the ordinary oval due to the plastic scraps.

 It has reported Earth Picture, the photographs on the nature put a picture of the deformed turtle on it's
Twitter lately. The back of the turtle in the picture is neither oval nor hexagonal, but '8' shaped. As you see, the vinyl cans wrapping strap was inserted amidst the waist that is the middle of 8 character.

 This is 'the 8 shaped deformed turtle' which was found in Branson, Missouri in June, 2006. Though the strap was gotton rid of immediately upon the finding, the odds of the recovery remained very scarce. According to the news, the age of the turtle was assumed of 20 by the result of X-ray examination. As the bowels including the lung was grown in the malformation, the turtle being poor at swimming, there was known the big probability of being drowned.

 The netizens at seeing the picture responded "how ackward was the turtle", "the deformed turtle is shocking" e.t.c.

From Online Joongang Ilbo


인간이 버린 쓰레기 때문에 타원형이 아닌 ‘8자형’ 몸을 가진 기형 거북이가 등장했다고 헤럴드경제가 18일 보도했다.

헤럴드경제에 따르면 자연 사진 전문인 어스 픽처는 최근 자신의 트위터에 기형으로 변한 거북이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 거북이의 등은 둥그런 타원형도 육각형도 아닌 ‘8자형’이다. 8자로 나뉘는 중간엔 음료수 캔을 포장할 때 사용하는 비닐이 끼워져있다.

이는 2006년 6월 미국 미주리주 브랜승에서 발견된 바 있는 ‘8자 모양 기형 거북이’다. 발견 즉시 비닐이 제거됐지만 회복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외신에 따르면 엑스레이(X-ray) 검사 결과 거북이의 나이는 20세다. 폐를 포함한 장기가 기형적으로 자랐고 수영도 능숙하지 못해 익사할 위험이 크다고 한다.

해당 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거북이가 얼마나 거북했을까”, “기형 거북이 충격적이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